상태 Hip 2023년 2월 27일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 | 진단 및 물리 치료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 | 진단 및 물리 치료

소개 및 역학

근위 햄스트링 부상은 스포츠 활동으로 인해 덜 자주 발생하는 반면, 근건 접합부 부상은 더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부상은 완전한 근위부 찰과상부터 부분적인 두께 파열, 지속적인 삽입 건 병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부상은 발병률이 낮고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을 받지 못하거나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장애 기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지식을 늘리고 진단 속도를 높이며 효과적인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이 블로그 게시물에서는 각 질환에 대한 일반적인 증상, 신체 검사, 진단 영상 및 치료법 선택에 대해 설명합니다(Degen 2019).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은 빠르게 걷는 사람, 장거리 달리기 선수, 단거리 달리기 선수, 축구, 축구, 하키 등 방향을 바꾸는 활동을 하는 운동선수에게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저희 웹페이지를 자주 방문하신다면 하지 건병증 진단을 위한 6가지 팁에 대한 동영상을 보셨거나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 건 병증은 다음 6가지 사항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역학 데이터(위 참조)
  2. 힘줄 접합부의 매우 국소적인 통증
  3. 근육 소모
  4. 특징적인 표지판
  5. 고강도+고속 부하 활동 24시간 후 통증 시작
  6. 부하와 고통의 비례 관계.

이 블로그에서는 근위 햄스트링 힘줄의 6가지 지점을 지정하고 가능한 감별 진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촉진

결절성 결절 통증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의 전형적인 징후는 결절의 고도로 국소화된 통증입니다.

촉진으로 허벅지 결절 부위의 통증이 잘 국한된 것을 확인해야 합니다.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은 햄스트링 뒤쪽에도 확산성 통증이 나타날 수 있는 몇 안 되는 건병증 중 하나라는 점에 유의하세요. 다른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보통 짧은 워밍업 기간이 지나면 증상이 덜 두드러집니다. 통증의 위치는 광범위한 감별 진단이 필요합니다.

 

감별 진단

감별 진단은 보다 광범위한 증상을 동반합니다:

  1. 천장관절 통증은 라슬렛 군집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습니다.
  2. 일반적으로 L4/L5, 특히 L5/S1의 요추부 관절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 3D 확장 PIVM 및 PA 자극 검사로 검사할 수 있습니다.
  3. 좌골 신경은 심부 둔근 부위에서 자극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전에는 이상근 증후군이라고 불렸지만 요즘에는 심부 둔근 증후군이라고 불립니다.
  4. 심부 둔근 촉진 외에도 좌골 신경을 압박하기 위해 심부 둔근을 늘리거나 수축시키는 몇 가지 검사가 있습니다. 슬럼프 테스트와 같은 신경역학 검사를 실시하면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또한, 허벅지 결절 내측에 통증이 있는 여성 러너의 경우 허벅지 광배근 스트레스 골절도 고려해야 합니다. 진단은 궁극적으로 영상 촬영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6. 청소년기 발차기 운동 선수의 경우 아포피염을 고려해야 하며, 청소년기 이후 운동 선수의 경우 20대와 30대에 성장판이 융합되지 않은 것이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7. 급성 발병의 경우 근위 햄스트링 힘줄의 부분 및 전체 파열을 고려해야 하는데, 이는 종종 무릎 신전과 함께 고관절을 극도로 구부릴 때 소리가 나는 파열로 발생합니다.
  8. 마지막으로, 고관절의 외회전 중에 대퇴골의 하부 대퇴골이 허벅지뼈에 충돌할 때 발생하는 대퇴골 대퇴부 충돌로 고통받을 수 있습니다.

 

근육 소모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의 경우 위축성 변화를 설명하는 문헌은 드뭅니다. 건병증의 일반적인 경험에 따르면, 영향을 받은 힘줄의 근육과 그 근육의 원위 운동 사슬의 근육이 영향을 받습니다. 이 경우 근육 소모를 검사하려면 햄스트링과 종아리에서 근육의 부피와 차이를 관찰하고 근육을 많이 사용하지 않은 경우 종종 감소하는 근육의 긴장을 촉진합니다.

 

홀마크 기호

근위 햄스트링 건병증의 특징적인 징후는 힘줄이 앉은 표면과 허벅지 결절 사이에 눌려서 힘줄이 삽입될 때 앉아있을 때 통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고부하 활동 24시간 후 통증 시작/악화

고강도+고속 부하 활동 24시간 후 통증이 시작되거나 악화되는 경우: 근위 힘줄의 경우 스프린트, 전력 질주, 허들 또는 언덕 달리기의 양, 강도 또는 빈도가 증가하여 증상이 시작되었는지 구체적으로 물어봐야 합니다. 이는 장기간 휴식을 취한 후에도 종종 발생합니다. 둘째, 통증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고강도 및 빠른 부하 활동 후 24시간 후에 증가했습니다. 요가나 필라테스와 같이 정적인 스트레칭이 필요한 활동이나 단순히 앉아서 하는 활동도 건초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비례적인 부하-통증 관계

모든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근위 햄스트링 힘줄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하면 통증이 증가합니다. 좋은 시작 도발 테스트는 양다리 다리와 외다리 구부린 무릎 다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긴 레버가 있는 브리지로 계속 진행하여 예를 들어 캐치와 같이 더 높은 하중과 속도로 진행합니다. 매우 강도 높은 테스트는 환자에게 양다리 데드리프트를 수행하도록 요구하고, 다시 하중과 속도를 추가한 단일 다리 버전으로 진행합니다.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통증 수준은 증가해야 하므로 외다리 다리에서 10점 만점에 3점을 받았다면, 하중과 속도가 추가된 긴 레버 다리는 하중과 속도가 추가된 외다리 데드리프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합니다.

문헌에는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을 진단하기 위한 3가지 일반적인 정형외과 검사가 설명되어 있습니다. 맞습니다:

햄스트링, 종아리 및 대퇴사두근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점

무료 텐돈 코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아킬레스건 및 슬개골 건 병증과 달리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은 덜 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킬레스 및 슬개건 병증에 대해 제시된 것과 같은 점진적 부하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한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높은 수준의 증거는 부족하지만 재활 원칙은 동일합니다. 다음 재활 운동은 질 쿡과 피터 말리아라스의 다양한 전문가 의견과 톰 굼과 동료들의 임상 해설에서 영감을 얻은 것입니다. 4단계 재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각 재활 단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관리 - 통증 수정

다른 하지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통증과 과민성을 줄이려면 부하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에너지 저장 부하는 견딜 수 있는 통증이 있고 24시간 이내에 통증 수준이 안정되는 활동으로 제한해야 합니다. 과민성 힘줄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통증이 있는 경우 햄스트링 스트레칭을 제한합니다.
  • 좌석을 수정합니다: 특수 햄스트링 쿠션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말아 올린 수건 위에 앉아 체중이 좌골 대신 허벅지 뒤쪽에 주로 실리도록 하거나 골반을 뒤로 젖히고 앉거나 높은 의자에 앉는 것이 좋습니다.
  • 통증이 있는 경우 일상 생활에서 쪼그리고 앉는 것도 제한해야 합니다.

다른 하지 건병증과 마찬가지로 점진적인 부하 프로그램이 회복의 핵심입니다. 통증을 모니터링하고 하중 허용 범위를 결정하려면 매일 동시에 짧은 레버 또는 긴 레버 브리지와 같은 하중 테스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테스트를 수행하고 1회의 반복에 대한 통증 수준을 평가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운동은 견딜 수 있는 통증 수준에서 수행해야 하며 통증이 증가하면 24시간 이내에 진정되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는 환자가 아직 해당 운동에 부하를 견딜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1단계: 아이소메트릭

목표: 주로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환자가 등장성 부하에 내성이 있는 경우 하루 2~3회, 효과가 긍정적인 경우 쉬는 날에도 재활 프로그램 내내 등척성 운동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근위 햄스트링 힘줄이 좌골 결절에 가장 적게 압박되는 자세(0° 고관절 굴곡)에서 시작합니다.

  • 신축성 있는 밴드가 있는 스트레이트 레그 풀다운
  • 아이소메트릭 트렁크 확장
  • 아이소메트릭 레그 컬 머신 45°, 45초 x5, MVC 70% 이상. 홈 베리에이션: 밴드를 사용한 등척성 다리 컬 (가능한 가장 무거운), 발가락, 후방 골반 기울기
  • 브리지(짧은 & 긴 레버): 더블, 더블, 한쪽 다리가 짧은 더블(하중 지지, 오프셋 브리지), 그 다음 싱글 다리 🡪 긴 레버를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무릎을 완전히 곧게 펴서 사용합니다.
더블 레그 브리지
등척성 더블 레그 브리지는 1단계 재활 운동으로 집에서 할 수 있는 훌륭한 운동입니다.

2단계: 등장성 재활(고관절 굴곡 제한)

등장성 재활 운동은 고관절 굴곡을 제한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의 목표는 햄스트링의 힘과 근육의 부피 및 기능적 ROM의 용량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제한된 고관절 굴곡, 3-4세트 x 15회 반복으로 시작하여 3-0-3 케이던스로 격일로 6-8회까지 진행합니다. 환자가 속도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메트로놈을 사용하세요.

연습 예제:

  • 엎드린 고관절 확장(테라루프 포함 또는 미포함)
  • 햄스트링 컬(엎드린 자세에서 더 좋습니다): 환자가 동심 운동을 할 수 없는 경우, 햄스트링을 분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인 편심 운동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브리징: 15~20회 반복이 쉬운 경우, 등척성 운동과 동일하게 진행하며 허용 부하 허용 오차가 있는 가장 어려운 운동부터 시작합니다.
  • 편심 브리지 슬라이드
  • 고속 달리기에 좋은 노르딕 햄스트링
편심 브리지 슬라이드
편심 다리 슬라이드는 2단계 재활에서 집에서 할 수 있는 훌륭한 운동입니다.

3단계: 등장성 재활에서 굴곡으로

이 단계에서는 고관절 굴곡이 제한된 상태에서 등장성 운동을 견딜 수 있을 때 시작할 수 있습니다. 복용량 및 로딩 매개변수는 2단계와 동일합니다.

예제 연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웨이트 유무에 따른 힙 쓰러스트, 양다리 및 싱글 레그
  • 앉아서 생활하는 노년층에게 더 좋은 옵션인 스텝업은 체중을 30kg까지 늘립니다 🡪 스텝 높이 진행(루마니아어)
  • 데드리프트(운동선수용): 무릎을 곧게 펴고, 등을 곧게 펴고, DB로 약 30-35kg까지 진행한 다음 바를 사용하여 🡪 다이버라고도 하는 싱글 레그로 진행합니다.
  • 대안: 케이블 풀다운(무릎을 곧게 펴고, 등을 곧게 펴고)
  • 스플릿 스쿼트(최대 BW 하중) 또는 런지
힙 쓰러스트
힙 쓰러스트는 3단계 재활을 시작하기에 좋은 운동입니다.

4단계: 에너지 저장 연습

이 단계는 에너지 저장과 충격 부하가 필요한 스포츠로 복귀하는 선수에게만 필요합니다. 운동은 3일마다 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시작하기 위한 요구 사항은 2단계와 3단계의 외다리 운동에서 비슷한 양측 근력과 에너지 저장 운동의 적절한 실행 및 제어입니다.

예제 연습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변 홉: 더블 다리, 싱글 다리, 앞, 뒤, 옆, 스텝 위, 스킵
  • 저항력 있는 달리기 또는 빠른 썰매 밀기 또는 당기기
  • 케틀벨 스윙
  • 교대 다리 분할 점프
스플릿 점프
스플릿 점프는 4단계, 에너지 저장 운동의 예입니다.

마지막으로, 환자가 관련 에너지 저장 기능의 양과 강도와 관련하여 자신의 스포츠 요구 사항을 재현하는 에너지 저장 운동 진행에 대한 부하 내성이 생기면 점진적인 스포츠 복귀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환자가 완전한 훈련을 견딜 수 있는 부하를 견디는 즉시 대회 복귀가 허용됩니다.

힘줄을 치료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그런 다음 블로그 게시물을 확인하세요:

 

참조

카치오, A., 보라, F., 세베리니, G., 포글리아, A., 무사라, F., 타디오, N., & 드 파울리스, F. (2012). 만성 근위부 햄스트링 건병증 진단에 사용되는 세 가지 통증 유발 검사의 신뢰성과 타당성.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 46(12), 883-887.

Goom, T. S., Malliaras, P., Reiman, M. P., & Purdam, C. R. (2016). 근위 햄스트링 건 병증: 평가 및 관리의 임상적 측면. 정형외과 및 스포츠 물리 치료 저널, 46(6), 483-493.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온라인 코스

빅 3 - 햄스트링, 대퇴사두근, 종아리 근육 및 힘줄 부상에 대한 고급 재활 훈련

자세히 알아보기
물리 치료 온라인 코스
힘줄 코스
리뷰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무료 앱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