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Elbow 2023년 2월 8일

내측 상과염 / 골퍼의 팔꿈치 | 진단 및 치료

내측 상과 통증

내측 상과염 / 골퍼의 팔꿈치 | 진단 및 치료

소개 및 역학

골퍼의 팔꿈치로 더 잘 알려진 내측 상과염은 내측 상과에서 발생하는 손목 굴곡근과 전완근의 힘줄 병증입니다. '형님' 격인 테니스 엘보에 비해 골퍼 엘보는 4~7배 정도 덜 흔합니다. 의 연구 Leach et al. (1987)에 따르면 LE가 내측 상과통보다 7~10배 더 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미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골퍼 엘보의 발병률은 1000인년당 0.81명이었습니다(Wolf et al. 2010).

내측 상과 통증은 일반적인 굴곡근-전완근 힘줄 복합체(전완근, 요골 굴근, 장무지 굴근, 표재지 굴근, 척골 굴근 포함)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과도한 외반 모지 스트레스는 내측 팔꿈치 통증의 발생과도 관련이있습니다 (Mishra et al. 2014).

상과염이라는 용어는 조직학적 연구에서 감염된 조직에서 염증 세포(대식세포, 림프구, 호중구)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서 의문이 제기되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섬유아세포 조직과 혈관 침범이 '건염'이라는 용어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오히려 풍부한 섬유아세포, 혈관 증식, 구조화되지 않은 콜라겐을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 과정을 정의합니다 (De Smedt et al. 2007)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임상 프레젠테이션 및 검사

팔꿈치 통증은 상과염 환자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환자들은 종종 초기 증상을 무시하고 늦게 의료 전문가를 방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병력은 외상이나 직장에서의 반복적인 일방적 작업, 일상 생활 수행 중, 또는 스포츠 중 점진적으로 통증이 시작되는 경우를 말합니다(Orchard et al. 2011). 통증은 일반적으로 활동할 때 더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완화되며 손목 굴곡 근육을 따라 팔뚝 아래로 퍼지거나 퍼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는 손의 힘이 약해지고 물건을 운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Pitzer et al. 2014).

내측 상과염과 외측 상과염은 비슷하지만, 피에니마키 등의 연구에 따르면 내측 상과염과 외측 상과염이 비슷하다고 합니다. (2002)은 두 만성 그룹의 두 가지 상태를 비교하여 내측 상 과염에서 악력 감소가 덜 심하고 외측 상 과염에서 통증이 더 광범위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시험

철저한 평가와 감별 진단을 위해 경추, 어깨, 팔꿈치, 손목을 두 질환 모두에서 검사해야 합니다. 내측 상과 통증 환자는 팔뚝의 굴곡근-전완근 힘줄의 기점, 내측 상과 또는 바로 원위부에 압통이 있습니다.
문헌에는 내측 상과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정형외과 검사가 두 가지만 설명되어 있습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고 수행 방법을 알아보세요:

두 번째 테스트인 폴크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폴킹혼 외 (2002)는 검사 1단계에서는 외측 상과를, 검사 2단계에서는 내측 상과를 모두 강조합니다:

어깨 통증과 척골 쪽 손목 통증에 대한 두 가지 100% 무료 웨비나를 시청하세요.

어깨 및 손목 통증 코스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치료

내측 상과염에 대한 문헌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료 권장 사항은 건 병증에 대한 일반적인 문헌과 테니스 엘보에 대한 지식을 골퍼 엘보로 옮긴 것을 기반으로 합니다. 우선 힘줄은 휴식을 취한다고 해서 나아지지 않습니다. 반응성 건병증의 경우 일반적인 휴식을 취해도 되지만, 건에 부하를 주지 않는 것은 건이 하중을 견디는 능력을 더욱 감소시키기 때문에 후기 손상이나 퇴행 단계에 있는 건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경험상 오버헤드 또는 라켓 스포츠에 관련된 대부분의 환자들은 운동을 중단하면 통증이 호전되지만, 휴식 후 다시 운동을 시작하려고 하면 실제로 더 많은 통증과 장애를 경험합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힘줄에 나타나는 염증은 신체의 다른 조직에서 볼 수 있는 전형적인 염증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문헌에 따르면 힘줄의 병적인 부분은 바꿀 수 없다고 합니다. "구멍이 아니라 도넛을 바꿔라"라는 표현이 바로 여기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염증을 줄이거나 힘줄의 병리적인 부분을 변화시키는 치료 옵션은 의미가 없습니다.

이제 합리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살펴보겠습니다:

부하를 가중시키는 고부하 및 고속 부하 활동을 줄이세요:
다른 힘줄과 마찬가지로, 힘줄이 에너지를 빠르게 저장하고 방출해야 하는 높고 빠른 부하 활동은 힘줄 과부하의 주요 원인입니다. 공을 던지거나 칠 때 팔꿈치와 손목 힘줄의 탄성 작용을 이용하는 오버헤드 운동이나 라켓 스포츠에서 골퍼 엘보가 자주 나타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모든 고강도 및 고속 부하 활동을 중단할 필요는 없지만, 활동 후 24시간 이내에 환자의 통증 악화가 진정되는 수준으로 운동 빈도, 시간, 반복 횟수 및 강도 등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일주일에 플레이하는 횟수를 4회에서 2회 또는 3회로 줄이고 연속해서 플레이하는 날은 피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게다가 서브를 피하기 위해 경기를 뛰지 않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팔꿈치 통증이 적어도 안정된 수준으로 유지될 때까지 점점 더 악화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었습니다.

부가 옵션
일부 환자는 교정기, 키네시오테이핑, 드라이 니들링, 마사지 또는 얼음을 사용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옵션은 환자와 치료사의 선호도에 따라 추가할 수 있지만, 어떤 옵션도 중장기적으로 힘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증가시키지는 못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개인적인 경험에 따르면 이부프로펜을 사용하면 힘줄 통증과 뻣뻣함에 단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문헌에 따르면 시험관 내 힘줄 제제에서 힘줄 부종에 대한 주요 기저 물질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동시에 위장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에 1~2주 이상 의존하는 것은 원치 않으실 겁니다.

조기 재활: 무겁고 느린 저항 운동

손목 굴곡 운동다른 건 병증과 마찬가지로 힘줄 재활의 절대적인 기본은 느리고 무거운 저항 운동입니다. 손목 굴곡근의 일반적인 기원을 목표로 하는 가장 좋은 옵션은 환자가 견딜 수 있는 통증으로 5-15회 정도 반복할 수 있는 무게의 덤벨 컬입니다. 환자가 집에 아령이 없는 경우, 아령이 들어 있는 배낭이나 물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힘줄에 느린 하중이 가해지도록 하려면 위로는 2~3초, 아래로는 2~3초보다 빠르지 않은 케이던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에게 격일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3세트를 수행하게 합니다. 이 빈도는 2010년에 힘줄에 강한 부하를 가하면 최대 36시간 동안 순 콜라겐이 분해된다는 것을 보여준 Magnussen 등의 연구 결과에서 유래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에 포함된 하중은 36킬로미터를 달리는 것과 같은 엄청난 양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견딜 수 있는 통증으로 10회 정도 움직일 수 있는 무게의 덤벨 컬을 매일 3세트씩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자신이나 환자에게 도전하여 며칠, 몇 주에 걸쳐 반복 횟수와 무게를 늘려보세요.

전립선 운동

손목 굽힘근과 함께, 역시 내측 상과에서 시작되는 힘줄인 회내근을 타깃으로 삼아야 하며, 이 힘줄 역시 종종 영향을 받습니다. 이 근육과 힘줄에 대해서는 망치, 테니스 라켓, 빗자루와 같이 머리가 무거운 물체를 이용해 발의 안쪽으로 돌림을 실시합니다. 빗자루자루에 무게를 더 추가하면 저항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약 3초의 케던스와 견딜 수 있는 통증으로 5-15회 반복하는 식으로 3세트 정도를 수행하세요. 반복 횟수를 늘리거나 레버리지나 무게를 늘려 운동을 진행하세요.

어깨를 타겟팅
이 시점에서 Elmaboud 등이 실시한 연구 2건을 발견한 E3 재활 팀의 동료들에게 간단히 인사드리고 싶습니다.  (2016)Nabil et al. (2019) 테니스 및 골퍼 엘보 환자의 어깨 외회전, 신전 및 외전 최대 토크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오버헤드나 라켓 스포츠를 하는 동안 어깨 근육이 부하를 흡수하지 못하면 스트레스가 상부 관절의 먼쪽 관절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케이블 풀리와 같은 외부 어깨 회전을 타겟으로 하는 운동, 측면 레이즈와 같은 외전 운동, 풀오버와 같은 어깨 확장 운동을 포함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주걱신경 활주에 따르면 도날드슨 등 (2013) , 내측 상과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최대 50%에서 동반되는 주걱신경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즉, 우리는 손목 굽힘근과 전완 회내근의 힘줄과 근육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주걱신경에도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뜻입니다.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 있는 정보 버튼을 클릭하면 주걱신경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척골 신경을 타겟팅하기 위해 척골 신경 슬라이더와 텐셔너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덜 자극적인 슬라이더부터 시작하여 환자가 슬라이더를 잘 견딜 수 있게 되면 텐셔너로 넘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집에서 슬라이더를 수행하려면 환자는 어깨를 납치하고 손가락과 손목을 뻗고 팔뚝을 내전하고 팔꿈치를 구부려야 합니다. 그런 다음 손을 머리 쪽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머리와 목을 동측으로 움직여 척골 신경을 근위쪽으로 이동시킵니다. 척골 신경을 다시 원위 방향으로 움직이려면 두 동작을 반대로 합니다.

텐셔너를 수행하기 위해 동일한 상지 동작이 이제 머리만 반대쪽으로 움직입니다. 엄격한 반복 횟수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10~20회 정도 매일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이 좋습니다.

팔꿈치 질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신가요? 그런 다음 블로그 글과 연구 리뷰를 확인하세요:

 

참조

도킹, S., 로젠가르텐, S., 대피, J., & 쿡, J. (2014). 구멍이 아닌 도넛을 치료하세요: 병적인 아킬레스건과 슬개건은 충분한 양의 정상적인 힘줄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스포츠 과학 및 의학 저널, 18, e2.

Donaldson, O., Vannet, N., Gosens, T., & Kulkarni, R. (2014). 팔꿈치 주변 건병증 2부: 내측 팔꿈치, 원위 이두근 및 삼두근 건병증. 어깨 및 팔꿈치, 6(1), 47-56.

Abd Elmaboud, B. A., Hamada, H. A., & Abd-Elmoneim, M. (2016). 테니스 엘보와 골프 엘보의 어깨 관절의 등속성 매개변수. Int J PharmTech Res, 9(9), 97-103.

Leach, R. E., & Miller, J. K. (1987). 팔꿈치의 외측 및 내측 상 과염. 스포츠 의학 클리닉, 6(2), 259-270.

미슈라, A., 피롤로, J. M., & 고센스, T. (2014). 운동선수의 내측 상과 건 병증 치료. 스포츠 의학 및 관절경 검사 검토, 22(3), 164-168.

Nabil, B. A., Ameer, M. A., Abdelmohsen, A. M., Hanafy, A. F., Yamani, A. S., Elhafez, N. M., & Elhafez, S. M. (2019). 테니스와 골퍼의 팔꿈치가 어깨 외회전근과 외전근의 최대 토크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 재활 저널, 29(4), 469-475.

오차드, J., & 쿤투리스, A. (2011). 테니스 엘보 관리. Bmj, 342.

Pienimäki, T. T., Siira, P. T., & Vanharanta, H. (2002). 만성 내측 및 외측 상과염: 통증, 장애 및 기능의 비교. 물리 의학 및 재활 기록 보관소, 83(3), 317-321.

Pitzer, M. E., Seidenberg, P. H., & Bader, D. A. (2014). 팔꿈치 건병증. 의료 클리닉, 98(4), 833-849.

폴킹혼, B. S. (2002). 상과염으로 인한 팔꿈치 통증을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 카이로프랙틱 의학 저널, 1(3), 117-121.

De Smedt, T., de Jong, A., Van Leemput, W., Lieven, D., & Van Glabbeek, F. (2007). 테니스의 외측 상과염: 병인학, 생체 역학 및 치료에 대한 업데이트.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 41(11), 816-819.

Wolf, J. M., Mountcastle, S., Burks, R., Sturdivant, R. X., & Owens, B. D. (2010). 군인 집단에서 외측 및 내측 상 과염의 역학. 군대 의학, 175(5), 336-339.

배우고 있는 내용이 마음에 드시나요?

코스 따라가기

  •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속도로 학습하기
  • 수상 경력에 빛나는 팀이 제공하는 대화형 온라인 강좌
  • 네덜란드, 벨기에, 미국 및 영국의 CEU/CPD 인증
온라인 코스

어깨, 팔꿈치 및 손목 결림 평가 및 치료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세요.

자세히 알아보기
물리 치료 온라인 코스
팔꿈치 코스
리뷰

이 과정에 대한 고객의 의견

무료 앱 다운로드